전통시장에서 진행한 참여형 보건사업의 과정과 시사점(2018)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 19-02-21 14:38 조회 2,385회

첨부파일

본문

1b5df2bcc732f129dccfcff977ba2d75_1550727457_0645.jpg
1b5df2bcc732f129dccfcff977ba2d75_1550727457_1659.jpg
1b5df2bcc732f129dccfcff977ba2d75_1550727457_2168.jpg

 

 

 

전통시장에서 진행한 참여형 보건사업의 과정과 시사점

 

서울시에서 시행된 지역사회 참여형 여성건강관리사업, 2012년부터 2017년까지 민-관 파트너십을 맺고 사업을 진행했지만 큰 성과를 보이지 못하고 2년만에 종료된 A 자치구 전통시장의 참여형 보건사업의 진행과정을 살펴보고, 실패원인을 분석해 사업에 참여한 각 주체들(정부, 지역단체, 주민 공동체, 모니터링단)과 관련하여 고려할 사항들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사업단은 협의체 구성과 사업에 대한 홍보, 실태조사를 통해 기반을 마련한 뒤,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사업을 시행했지만, 모두 기대했던 성과를 가져오지 못했다. 이에 대한 각 주체별 시사점은, 정부 차원에서는 짧은 사업기간으로 인한 문제점들과 예상공백, 담당 보건소의 행정문제이다. 지역단체 측면에서는 참여형 보건사업과, 이를 조직화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이해의 선행이다. 지역주민 측면에서는 지역주민의 의견이 배제되지 않아야 하며, 열악한 상황에 대한 물적 토대가 필요하다. 모니터링단에서는 현실적 여건을 고려한 공동체와의 거리 좁히기와 각 단체와 미묘한 위계가 발생하지 않게 관계에 대한 자기 성찰, 그리고 사업에 매몰되기 쉬운 현장 사람들에게 활동의 가치를 상기시켜줄 필요가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