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포럼2] 패션디자이너의 노동 특성과 건강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 25-03-31 17:51 조회 33회

본문

 사회건강연구소의 2025년 2차 포럼에서는 그 동안 연구분야나 사회운동 분야에서 거의 다룬 적이 없는 패션디자이너의 노동 특성과 건강에 관해 발표가 있었습니다. 이 연구는2024년 김영정류〮지아정〮진주 사회건강연구소 연구자들이 연구한 것을 요약하여 발표하였는데 발표는 연구 책임자인 김영정 박사께서 맡아 주셨습니다. 포럼이 열리는 시간이 외부 정치적 상황 때문에 어려웠음에도 25분이 참석하셔서 함께 발표도 듣고 이야기하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사회건강연구소는 산재에 관해 일반인들이 보다 자신의 문제로 고려할 수 있도록 의식주와 관련된 산재 문제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2023년에는 ’빵 만드는 사람들의 건강’, 2024년에는 오늘 발표된 ‘패션 디자이너의 노동특성과 건강’, 2025년에는 ‘집짓는 사람들의 건강’을 시리즈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6f17f2edfc498444284ffa1e7deb87ec_1743410894_3106.png

 

 

 

 

1. 연구 배경 및 목적

 

 패션 디자이너는 특히 삶의 질을 추구하고 휴일 등을 보장받고 싶은 권리를 요구하는 노동자로서의 정체성과, 일을 더 잘 하고 작품을 더 잘 만들어내고 싶다는 직업으로서의 정체성을 같이 가지고 있습니다. 그 안에서 갈등이 일어날 수 있고, 이러한 갈등은 다른 직업군에서도 발견될 수 있지만, 패션 디자이너 직업군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잘 드러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패션’에 대해 사람들은, 이를 필수적이면서도 ‘사치’라고 인식하며, 유행이 빨리 바뀌고 환경 오염과 관련하여 윤리적인 소비와 관련한 담론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패션 디자이너 직업 자체에 대해서는 사람들이 잘 알고 있지만, 이들의 노동은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패션 디자이너 관련 선행 연구에서도 디자인과 산업 측면만 강조되어 왔습니다.

 

2. 패션 디자이너 현황

 

<섬유패션사업 인력실태조사>를 통해 섬유패션산업 종사자와 패션 디자이너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으나, 단기 계약직에 대한 파악이 잘 되지 않습니다. 실태 조사 결과를 분석해보면, 패션 디자이너 중 여성이 2,584명으로 82.2%이며, 패션디자이너는 섬유패션산업 종사자 중 2.4%만을 차지합니다. 대부분의 패션 디자이너들이 서울에 거주하며, 여러 직무 중 근속년수가 6.8년 정도로 매우 짧은 편입니다.

 

3. 심층면접조사 

 

 2024년 6월부터 9월 사이에 10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인터뷰를 진행하였는데, 대상자는 패션 디자이너로 3년 이상 종사했으며 현직에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습니다. 최종 선정된 대상자들은 경력이 많은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어, 자신 뿐만 아니라 주위의 사정도 많이 전달해 주었습니다.

대부분의 응답자가 시각적 미와 옷에 관심이 있었고, 손재주가 좋아 어린 시절부터 패션 디자이너로 진로를 결정했다고 하였습니다. 이들은 자신이 만든 옷이 대중의 선택을 받을 때 자부심을 느끼고, 중요한 것을 만드는 사람이라는 책임감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방송이나 드라마에서 디자이너를 비추는 것에 비해, 혹독한 현실을 경험하는데요. 서서 오래 일을 한다든지, 프로모션 업체의 경우 직접 소재를 사러 다니러 뛰어다녀야 하는 업무 범위가 넓습니다. 보수에 대한 불만족도 크며, 경쟁이 심한 치열한 현실에서 현실의 혹독함을 자각합니다. 

패션 디자이너의 작업 내용은 상품 기획, 디자인, 패턴 제작, 샘플 제작, 품평, 수정, 공장 제작, 유통의 단계를 거칩니다. 품평의 경우 샘플을 만든 후 회사 사람들이 압박을 주는 구실을 하는데, 대표이사부터 지점주와 매니저, 마케팅부서의 대표까지 모여 디자이너가 만든 옷을 보며 점수 매기고 평가를 합니다.

 패션 디자이너의 노동 특성과 환경을 살펴보면, 이직은 급여 인상의 유일한 기회이고, 퇴사 압박도 많기 때문에 이직이 잦습니다.  또한 앞서 말한 품평 때문에 마감 압박이 심하며, 끝없는 수정과 질적 완성을 추구해야 하고, 보상 없는 야근이 잦습니다. 매출이 인사고과에 반영되기 때문에 품평 스트레스가 크고, 디자인 의견 불일치가 있을 경우 역시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패션 디자이너들은 피팅 모델 체형을 유지하길 기대 받는데, 특히 막내 디자이너들이 압박 받으며, 보여지는 직업이라는 점에서 압박이 크고, 의복비가 과도하게 듭니다.

  노동 환경과 관련해서는 면적이 좁은 공간에서 일하며, 제한된 공간에 많은 옷을 두어 적재공간이 부족하고, 공기 질이 좋지 않습니다. 일터에서 산업안전교육이 부족하며 교육이 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도 적고, 실제 교육을 한다고 해도 형식적으로 진행되어, 산재 정보가 부족합니다. 노동조합이 없는 사업장이 대부분이고, 노동자 의견 수렴의 통로가 없습니다.

  자주 발생하는 건강문제는 옷핀, 가위 등으로 인해 기계 사용 중 부상과 관련된 사고, 무거운 소재 들다가 중량이나 자세 때문에 근골격계 질환, 과로와 스트레스로 인한 음주와 흡연 및 다양한 증세(불면증, 두통, 신우신염, 위염, 탈모, 대상포진, 방광염, 원인을 알 수 없는 기침) 등이 있습니다.

 

4. 노동자 건강권에서의 함의와 개선 방향

 

 이들의 건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장시간 노동 해결, 기업 규모에 따른 노동조건의 차이 해소, 일터의 정신건강 문제 관심 확대, 패션 디자이너 특성을 고려한 안전보건교육이 필요합니다. 무엇보다도 이와 관련하여 소통 창구를 마련하기 위해 노동자 조직화 및 의견 수렴이 가능한 통로가 마련되어야 할 것입니다. 

 

 

 

6f17f2edfc498444284ffa1e7deb87ec_1743411003_4269.png

 

 

 

Q&A

 

1. 패션 디자이너의 건강과 관련해서는 정신 건강이 많이 부각된 것 같은데, 손을 많이 쓰는 환경, 무거운 소재를 옮기는 작업, 손을 많이 쓰는 작업과 관련하여 신체 건강에서의 어려움도 많을 것 같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이 듣고 싶습니다.

- 옷감 소재로 인한 비염, 천식 피부염, 무거운 천 등을 옮기는 것과 관련된 근골격계 질환, 잦은 어깨 통증과 손목 통증 등이 있습니다.

 

2. 빵 만드는 사람의 건강, 디자이너의 건강은 통상의 이미지와 달리 그 현실이 다릅니다. 그런데도 이러한 조건을 감수하면서 하는 것이, 창의성 등 때문인지, 이렇게 할 수 밖에 없는 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 관행적으로 장시간 노동 등이 남아있기도 합니다. 사망사고가 잘 안나는 곳은 가장 늦게 관심이 가는데요. 더불어 과거에 이상봉 디자이너 때 근무 환경의 부당함을 폭로한 사람들은 폭로 이후 서로 너무 잘 알고 있어 돌아갈 수 없는 좁은 업계라는 점도 이유로 작용할 것 같고, 겉으로 보이게 화려한 직업은 보상도 잘 받는다고 여겨져서, 사람들이 잘 주목하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3. 종사자의 근무지에 먼지의 양, 환기 시스템, 창문, 마스크 기준을 만들어서 지키도록 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 실내 공기 질에 대한 규정이 있는데, 패션 디자이너 작업 공간에는 적용이 잘 안되고, 이것이 잘 지켜지지 않는 환경이 당연하다는 노동자의 인식이 있습니다. 말씀하신 대로 사고와 근골격계 질환 예방, 공기 질에 대한 문제는 기초적인 것으로써 법과 제도 내에서 인식 고용 및 제도화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입니다.

 

* 마무리 멘트

- 하나의 직업군의 노동과 건강에 대한 연구를 하며, 유사성을 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에 대해 가질 수 있는 시사점을 가지는 연구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어렸을 때부터 되고 싶은 직업이어서, 포기할 수 없다는 인상을 인터뷰를 하며 많이 받았습니다. 또한 패션 디자이너가 되기 위해 진학해야 하는 학과와, 학과를 졸업한 뒤의 경로가 사회적으로 정해져 있을 경우, 심적 갈등이 심할 것 같았습니다. 그 때문에 노동환경을 개선하기보다는 참고 일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큽니다.

 

 

 

6f17f2edfc498444284ffa1e7deb87ec_1743411065_3394.png

 

 

 

 

 

 다음 포럼은 집 짓는 사람들의 건강과 관련한 것으로, 남성 노동자가 주류인 건설계에 있는 여성들에 집중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